[뉴스초점] 울진·삼척 산불 진화 총력…강릉 산불 확산<br /><br />■ 방송 : 2022년 3월 5일 (토) 뉴스10<br />■ 진행 : 정호윤 앵커<br />■ 출연 : 이용재 경민대 소방행정학과 교수<br /><br />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산불이 벌써 23시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방당국이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거센 바람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 전문가와 짚어보죠.<br /><br />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, 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산불 발생 만 하루가 지났지만, 여전히 산 능선과 나무 사이로 새빨간 불길이 타오르고 있습니다. 울진과 삼척 지역 일출이 시작된 6시 50분쯤부터 헬기 57대를 총동원해 진화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는데요. 일단 큰불을 잡는 데 주력해야 하는데 특히 어느 지점을 공략하는 게 좋을까요?<br /><br /> 그런데 날씨가 관건입니다. 동해안 지역에 건조 주의보와 강풍 특보가 동시에 내려진 상황이라 최악의 진화 환경에 놓인 건데요. 시속 35∼60km의 강풍은 내일까지 예보됐습니다. 어떤 진화 전략을 짜야겠습니까?<br /><br /> 동해안 양간지풍이 문제입니다. 서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바뀌는 현상인데요. 지난 2005년 낙산사를 잿더미로 만든 양양 산불 때도 양간지풍이 불었었죠. 산맥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는 바람이라 진화가 무척 어렵다고요?<br /><br /> 이뿐만 아니라 최근 석 달간 전국 누적 강수량이 평년 대비 14.6%에 불과합니다.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1973년 이후 50년 만의 최저치라고 하는데요. 바싹 마른 대지 탓에 물줄기를 계속 뿌려도 쉽게 잦아들지는 않는 상황이라고요?<br /><br /> 진화대원들은 한울원전이나 삼척의 LNG 기지 등에 배치돼 인명과 주요시설물 보호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. 만약 방화선이 무너지게 된다면 어떤 피해를 예상해볼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 당국은 산불 발생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했습니다. 재난사태가 선포되면 현장에서 어떤 매뉴얼을 적용하게 됩니까?<br /><br /> 현재까지 파악된 산불 영향구역은 3,300ha가량으로 추정됩니다. 서울 여의도 면적의 11배 정도로 최근 10년 내 최대 규모인데요. 산불 발생 후 삽시간에 이렇게 큰 규모로 번지게 된 이유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현재 인근 주민들 5천 명 가까이가 대피한 상태입니다. 불이 민가를 갑자기 덮쳐서 준비할 시간도 없이 몸만 빠져나왔다는 분도 있는데요.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법을 이 시간을 통해 말씀 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울산과 삼척 말고도 강원도 강릉과 영월에서도 산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주불이 진화된 곳도 있고 아직 꺼지지 않은 곳도 있는데요. 동해안 지역 곳곳에서 추가 산불 확산 우려도 나오고 있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